(English is here.) 전통적으로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이라는 단어는 자주 혼용되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동정”은 패션에서 벗어나고(심지어 교만과 연관되기도 합니다), “공감”은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나는 너의 동정을 원하지 않아, 공감을 원해!“라고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개념 사이의 깊은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동정이 성경적 진리에 뿌리를 두고 있는 반면, 공감은 비성경적일 뿐만…
-
-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Traditionally, the words “empathy” and “sympathy” have often been used interchangeably. In today’s world, however, “sympathy” is very much out of fashion (even associated with condescension), while “empathy” is all the rage. People are often heard saying, “I don’t want your sympathy; I want your empathy!” In…
-
[English is here.] 저를 잘 아는 분이라면 이미 아시겠지만, 저는 요즘 그리스도의 천년왕국의 도래에 대해 깊이 묵상하면서 그 기대와 흥분으로 가득 찬 삶을 살고 있습니다. 천년왕국에 대한 표면적인 생각을 넘어서, 성경이 가능하게 하는 만큼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천년 동안 그리스도와 함께 세상을 다스릴 때, 우리의 부활한 몸은…
-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I’ve been meditating on the coming of Christ’s Millennial Reign for some time now. The thought of reigning with Christ for a thousand years, overseeing a world finally made right, really excites me. I try to be as concrete as possible. For example: did you know that…
-
(This is an addendum to the main essay found here. 다시 원 에세이로 가려면 여기.) Let’s walk through the main calculation, adding a few details to account for N independent eyewitnesses. Even if you’re not mathematically inclined, I believe this exercise will help you appreciate key aspects of the process we use…
-
(English is found here.) 과연 간단한 수학 공식을 통해 우리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이 바뀔 수 있을까요? 상상해 보세요. 여러분이 매우 희귀한 질병에 대해 검사받았다고 가정해 보세요—그 질병은 거의 들어본 적이 없을 정도로 드물어서 확률상 1조 분의 1일 정도입니다. 여러분은 그 질병이 존재할지에 대해 의심이 많습니다.…
-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What if I told you that a simple mathematical formula could change the way we think about the most pivotal event in human history? Imagine you’ve been tested for an incredibly rare disease—so rare that it’s practically unheard of, like 1 in a trillion. You’re skeptical about…
-
Have you noticed that some New Testament verses are missing in modern Bible translations like the NIV, ESV, or NLT? Are you familiar with the King James Version Only (KJVO) movement? While I don’t fully align with their position on the KJV, I now understand why they hold such views…
-
(English version is here.) 나는 뉴욕의 냄새가 싫다. 대마초 연기와 길거리 핫도그 가판대에서 나는 타는 듯한 악취가 뒤섞인 역겨운 냄새다. 거리를 따라 끝없이 늘어선 작은 가판대들, 관광객들에게 10달러짜리 핫도그를 바가지를 씌우며 공기를 오염시키는 불쾌한 탄내. 이 가게들은 도무지 “미국적” 이라고 할 것을 어디에도 찾을 수 없는 곳들이다. 대부분 불법 이민자들이 운영하며, 메뉴판에는…
-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I hate the smell of New York City. It’s a rancid mix of marijuana smoke and the constant burning stench of corn dog stalls. Those endless little kiosks lining the streets, scamming tourists with $10 corn dogs while polluting the air with that greasy, burnt odour. There…
-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If you are truly awake—if you are not compromised by friendship with the world (James 4:4) or entangled in the cares of this life like seed choked by thorns (Mark 4:19)—then deep in your spirit, you already know: The end of all things is at hand. You…
-
(English version is here.) 만약 여러분이 참으로 깨어 있다면—즉, “세상과 벗이 되어 하나님과 원수가 되지 않고(야고보서 4:4)”, “세상의 염려와 재물의 유혹, 기타 욕심과 향락에 얽매여 말씀의 열매를 맺지 못하는 가시떨기 속 씨앗과 같지 않다면(마가복음 4:19)”—여러분은 이미 영 깊은 곳에서 알고 있을 것입니다.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습니다. 세상의 시끄러운 뉴스나 어느…
-
(Part one is here; Part two is here.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Last time, we explored (in the form of “stories”) the sublime Jesus that Paul encountered, the life of Pastor Ko, who went all in for that same Jesus, and finally the life of Thomas Aquinas. As promised, the final…
-
(지난 번 예수서원 제2파트를 이어 마지막 파트입니다. 미처 못 읽으신 분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제1파트와 제2파트를 읽으시기 바랍니다. English is here.) 지난 번에 우리는 바울이 만난 숭고한 예수님과, 그 예수님에 올인 한 고석희 목사님, 토마스 아퀴나스의 삶을 “이야기”라는 형태로 접했습니다. 이 예수서원 55기 후기의 마지막 파트는 베토벤의 이야기로 시작하겠습니다.
-
(Part one is here.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The Jesus Paul Encountered In the previous section, we explored Paul’s life, which was marked by a balanced centripetal and centrifugal phases, all centred on Jesus, living as a lifelong learner. Now, we turn to the event that radically transformed Paul: his encounter with…
-
(지난 번 예수서원 제1파트를 이어 제2파트입니다. 미처 못 읽으신 분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전반부 글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English is here.) 바울이 만난 예수님 지난 번에 우리는 바울의 균형잡힌 구심력과 원심력의 삶, 예수님을 중심으로 평생 학습자로 살아간 모습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바울을 그렇게 한순간에 바꾸어 놓은 다메섹 도상 사건, 즉…
-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From 23rd–27th December 2024, my whole family attended the 55th Class of Jesus Academia in Long Island, NY. It was a truly transformative time of deepening our love and understanding of our Lord and Saviour Jesus. We are so thankful to my parents who introduced us and…
-
(English version is here.) 2024년 12월 23일부터 27일까지, 저희 가족은 뉴욕 롱아일랜드에서 열린 예수서원 제55기에 참석했습니다. 예수님에 대한 사랑과 이해가 깊어지는 정말로 놀라운 시간이었습니다. 저희를 이 행사에 소개해주시고 참석할 수 있도록 해주신 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