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On Propitiation

    🤷🏻 The Danger of a “Jesus-My-Boyfriend” Theology In much of today’s Church, the gospel has been reshaped into a sentimental romance—“Jesus my boyfriend,” gentle, validating, affirming, and comforting, but stripped of any weight of divine holiness. Influential voices like Greg Boyd, Rob Bell, and W. Paul Young have championed Christus…

  • 🦁 이란 정권 교체가 곧 일어날 것이라 믿는 이유

    [This is a Korean translation of the essay in English.] 최근 이스라엘 이란 전쟁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성경의 에스겔 38-39장을 올바르게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 본문은 말세에 페르시아(오늘날의 이란)를 포함한 여러 나라들이 이스라엘을 침공하는 전쟁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전쟁의 목적은 이스라엘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약탈”하는 것입니다. 이 차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故…

  • 🦁 Why I believe Iran Regime Change is Soon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In recent months, as tensions flare between Israel and Iran, many have rightly turned to the pages of Scripture, particularly Ezekiel 38–39, to discern what may be unfolding before our eyes. Ezekiel’s vision speaks of a confederation of nations—among them Persia (modern-day Iran)—marching against Israel not to…

  • 👑 믿음: 잊혀진 충성의 요구를 회복하며

    [This is a Korean translation of the original in English.] 왜 신약성경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라”는 명령과 함께 곧바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으라”는 명령을 자주 병행하고 있을까? 만일 세례가 단지 상징적인 의식에 불과하고, 이미 완성된 믿음에 부가된 선택적인 예식이라면, 왜 주님께서는 그렇게 중대한 것으로 취급 하셨을까? 이제 그…

  • 👑 No King but Christ

    Recovering the Forgotten Demand of Allegiance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Lately, I have found myself returning to a simple but arresting question: Why does the New Testament so often pair the call to “Believe in the Lord Jesus Christ” with the immediate command to “be baptised in His Name”? If baptism…

  • 🕚 종말론 용어의 불일치: 논리적, 영적 고찰

    [English version is found here.] 최근 몇 년간 나는 종말론 연구에 깊이 몰두해 왔다. 지금 나의 가장 큰 관심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복음주의 교계에서 종말론은 요한계시록 20장에 언급된 천년왕국에 대한 세 가지 입장으로 크게 나뉜다.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겉보기엔 정돈되어 보이지만, 나는 처음부터 이 용어들에 내재된 논리적 불일치에 불편함을…

  • 🕚 The Quiet Problem with Our Millennial Labels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Over the past several years, I’ve found myself increasingly drawn to eschatology—the Christian doctrine of last things. Not as a curiosity or a hobby, but as something that has quietly worked its way into the centre of my thinking about Christian hope, purpose, and urgency. As many…

  • 🐟 물가에서

    야자수들은 속삭였다.물들은 노래했다.침묵은 다스렸다. 우리는 걸어 내려갔다. 어둠 속, 빈 그물이 무겁게 끌린다.그분 없이 새는 허무하고 긴 밤. “얘들아, 먹을 것이 있느냐?”“그물을 오른편에 던져라!” 처음 부르셨던 그 순간이 스쳐 지나간다. 베드로는 들었다.“주님이시다!”베드로는 물속으로 뛰어들었다.부끄러움도, 두려움도 없이. 오직 사랑 하나로. 멘사 크리스티.이야기가 아니다.기억도 아니다.바위처럼 단단한 초대였다. 용서를 말하는 침묵.사랑을 속삭이는 고요.…

  • 🐟 At the Water’s Edge

    The palms whispered.The waters sang.Silence ruled. We walked down. Empty nets dragged heavy through the dark.Futility without Him. “Children, have you any food?”“Cast the net on the right side!” It was the first call all over again. Peter heard. “It is the Lord!”Peter plunged in.No shame. No fear. Just love. Mensa…

  • 🪦 돌의 그림자 속에서

    슬리퍼 위에 먼지. 공기 속에 향. 돌들이 말을 걸었다. 커스토디아 타레 상테(성지 수호 수도회)의 예루살렘 십자가—대리석에 새겨지고, 철에 조각되며, 천 년 전 열정에 불탔던 자들의 가슴에 달렸던 그것—내 영혼 위에 인장처럼 눌러 앉았다. 나는 그분이 피 흘리신 길을 걸었다. 비유가 아니다. 신화도 아니다. 하나님이 육신이 되어 오셨다. 골고다는 실제였다. 무덤도…

  • 🪦 In the Stone Shadows

    Dust on my sandals. Incense in the air. The stones spoke. The Jerusalem Cross of Custodia Terræ Sanctæ—cut into marble, carved into iron, worn by zealots a thousand years dead—pressed down on my soul like a seal. I walked where He bled. Not metaphor. Not myth. God in flesh. Golgotha…

  • 🖤 공감의 죄: 성경적 관점

    (English is here.) 전통적으로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이라는 단어는 자주 혼용되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동정”은 패션에서 벗어나고(심지어 교만과 연관되기도 합니다), “공감”은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나는 너의 동정을 원하지 않아, 공감을 원해!“라고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개념 사이의 깊은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동정이 성경적 진리에 뿌리를 두고 있는 반면, 공감은 비성경적일 뿐만…

  • 🖤 The Sin of Empathy: A Biblical Perspective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Traditionally, the words “empathy” and “sympathy” have often been used interchangeably. In today’s world, however, “sympathy” is very much out of fashion (even associated with condescension), while “empathy” is all the rage. People are often heard saying, “I don’t want your sympathy; I want your empathy!” In…

  • 💗 사랑과 천년왕국

    [English is here.] 저를 잘 아는 분이라면 이미 아시겠지만, 저는 요즘 그리스도의 천년왕국의 도래에 대해 깊이 묵상하면서 그 기대와 흥분으로 가득 찬 삶을 살고 있습니다. 천년왕국에 대한 표면적인 생각을 넘어서, 성경이 가능하게 하는 만큼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천년 동안 그리스도와 함께 세상을 다스릴 때, 우리의 부활한 몸은…

  • 💗 Love in the Millennial Reign

    [한글은 여기 있습니다.] I’ve been meditating on the coming of Christ’s Millennial Reign for some time now. The thought of reigning with Christ for a thousand years, overseeing a world finally made right, really excites me. I try to be as concrete as possible. For example: did you know that…

  • 🧮 The Maths behind Bayes’ Theorem and The Resurrection

    (This is an addendum to the main essay found here. 다시 원 에세이로 가려면 여기.) Let’s walk through the main calculation, adding a few details to account for N independent eyewitnesses. Even if you’re not mathematically inclined, I believe this exercise will help you appreciate key aspects of the process we use…

  • 🧮 베이즈 정리(定理)와 예수님의 부활(復活)  

    (English is found here.) 과연 간단한 수학 공식을 통해 우리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이 바뀔 수 있을까요? 상상해 보세요. 여러분이 매우 희귀한 질병에 대해 검사받았다고 가정해 보세요—그 질병은 거의 들어본 적이 없을 정도로 드물어서 확률상 1조 분의 1일 정도입니다. 여러분은 그 질병이 존재할지에 대해 의심이 많습니다.…